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디아블로2(diablo II)는 1편의 전사(워리어)가 게임 디아블로(diablo)를 쓰러뜨리고 영혼석(소울스톤)을 박았다가 게임 디아블로(diablo)의 새 숙주가 되었다는 설정입니다. 도적(로그)은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안다리엘에 의해 타락하여 핏빛 큰까마귀가 된다. 그리고 마술사(소서러)는 게임 디아블로(diablo)와의 싸움에서 공포로 미쳐서 소환술사가 되었다고 한다.게임 디아블로(diablo)를 쓰러뜨린 건 결과적으로 한 명의 전사뿐이었습니다. 나머지 둘은 중간에 실패하고 타락했다는 게 공식 설정인 1편과 달랐습니다. 2편은 확장팩까지 포함하여 등장하는 7명의 모험가 전부가 함께 동행했다고 설정되어 있다. 다만 확장팩에서 추가된 드루이드와 어쎄신은 아리앗 산(액트5)에서 합류했다고 한다. 공식 설정집인 케인의 기록을 읽어 보면 알 수 있다.전작 게임 디아블로(diablo) 1처럼 레벨업을 할 때마다 스탯 포인트가 5씩 주어지게 되었습니다. 해당 스탯 포인트로 다음 능력치를 투자할 수 있다.힘(Strength) : 통칭 힘이다. 근접 무기의 데미지를 올려준다. 또한 일정 수치의 힘을 요구하는 아이템이 있다. 힘바바 같이 데미지를 위해 힘에 몰빵하는 케이스를 제외하면 착용할 아이템에 맞춰서 투자하는 것이 좋다.민첩성(Dexterity) : 통칭 덱스 또는 민첩이다. 투자할 때마다 방어/공격등급/블럭율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일부 근접 무기의 데미지와 원거리 무기의 데미지를 올려준다. 또한 일정 수치의 민첩성을 요구하는 아이템(힘과는 다르게 일부 무기만)이 있다. 보통 패이즈 블레이드 같이 민첩성을 많이 요구하는 템을 끼기 위함입니다. 블럭율을 75%로 맞추기 위함입니다. 공격등급을 높이기 위해서 투자를 하게 된다. 또한 자체 데미지가 중요한 활아마의 경우 대부분 덱스에 몰빵하는 것을 추천한다.생명력(Vitality) : 통칭 피 또는 바이탈이다. 1 찍을 때마다 라이프와 스태미나가 일정량 증가합니다. 증가치는 클래스마다 다르다. 라이프가 높아서 나쁠 것이 없기 때문에 힘바바나 데미지를 위해 덱스에 몰빵해야 하는 활아마 등 일부 케이스를 제외합니다. 대체적으로 남은 스탯 포인트는 전부 여기에 투자하는 게 좋다.에너지(Energy) : 찍을 때마다 마나가 일정량 증가합니다. 증가치는 클래스마다 다르다. 게임 디아블로(diablo) 2에서 마나 회복은 최대 마나에 비례하므로 에너지를 찍을 때 마다 마나 회복도 같이 증가한다. 다른 스탯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좀비소서 등 아주 특이한 케이스가 아니면 아예 찍지 않거나 아주 약간만 찍습니다. 마나 자체는 아이템으로 때우는 편이다.다음은 캐릭터 스탯창에서 확인할 수 있는 능력치들이다.라이프(Life) : 데미지를 입으면 줄어들고 0이 되면 죽게 되는 RPG에서 흔해빠진 수치 No.1. 레벨업 시 조금 증가합니다. 생명력에 투자하면 역시 조금 증가한다.스태미나(Stamina) : 후술이다.마나(Mana) : 스킬을 사용하면 줄어들고 스킬 요구치에 비해 마나량이 적으면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RPG에서 흔해빠진 수치 No.2. 레벨업 시 조금 증가합니다. 에너지에 투자하면 역시 조금 증가한다.데미지(Damage) : 이름 그대로 적을 맞췄을 때의 데미지. 보통 템과 스킬의 조합으로 구성된 최종 데미지가 표시된다. 스마이트의 추뎀같이 경우에 따라 실제로는 적용되지만 수치상으로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맹신하지는 말아야한다.공격등급(Attack Rating) : 자신의 물리 공격을 적에게 맞출 확률을 높여준다. 플레이어의 공격등급과 상대의 방어를 사용하여 확률을 계산합니다. 최대 명중률은 95%이다. 소서같은 마법계 캐릭터와 슴딘 등 무조건 명중이 가능한 기술을 쓰는 캐릭터를 제외하면 물리 공격이 주력인 캐릭터에게 상당히 중요한 능력치다. 여기서 중요한건 자신의 공격등급 수치가 높아도 몬스터의 레벨보다 낮으면 아무리 높아도 확률이 낮다. 게임 디아블로(diablo) 2가 정말 잘 만들었다고 여겨지는 부분 중 하나가 비로 레벨간의 격차로 인해 받는 패널티라는 점이다. 하지만 자신의 레벨이 몬스터보다 월등히 높으나 공격등급이 낮은 마법사 계열인 경우 적중률이 낮다.방어(Defense) : 다른 게임과는 다르게 게임 디아블로(diablo) II에서는 적의 물리 공격을 안맞을 확률을 높여주는 수치이다 공격등급으로 타격 확률을 최대 95%까지 올릴 수 있는 것처럼 이쪽도 방어로 피격 확률을 5%까지 줄일 수 있으나 몬스터의 레벨이 높을 경우 방어 수치가 높아도 공격이 잘 들어오는 점 참고해야 한다.방어 기회(Chance of Blocking) : 통칭 블럭. 방패를 들고 있습니다. 어쎄신이 클러를 양손에 들고 웨폰 블록을 투자했을 때만 나타나는 수치. 물리계 근접 공격 및 물리계 원거리 공격(마법 공격은 방어 안됩니다. 블럭할 수 없는 물리 공격도 존재한다.)을 방패로 완전히 막아낼 수 있는 확률이다. 방패 자체의 블럭율과 민첩성을 조합하여 계산합니다. 최대치는 75%. 다만 달릴 때는 블럭율이 1/3로 떨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블럭율을 75%로 맞추기 위해선 상당히 많은 민첩성을 투자해야 합니다. 팔라딘의 경우 홀리 쉴드가 방패 블럭율도 올려주기 때문에 민첩성 투자량이 다른 클래스에 비해 적다.오리지날 게임 디아블로(diablo)2 는 민첩성 상관없이 방패에 표기된 방어 기회 그대로 효과가 적용되지만 최대 확률이 69%임을 참고하면 된다.어쎄신의 웨폰 블록은 방패 블럭과는 살짝 개념이 다르다. 이쪽은 민첩성을 적용받지 않고 순수 스킬 레벨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달릴 때는 아예 블럭이 안되지만 마법 공격도 막아낼 수 있다.저항력(Resistance) : 통칭 레지. 파이어 저항력 라이트닝 저항력 콜드 저항력 포이즌 저항력(통칭 독레) 4가지로 나뉘어집니다. 피격 시 해당 원소 데미지를 % 단위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파레가 50일 경우 파이어 데미지 100을 받게 되면 50%가 감소된 50이 들어오게 된다. 기본 수치는 확장팩 기준으로 노말에선 0입니다. 나이트메어에선 -40입니다. 헬에선 -100이다. 최대치는 75입니다. '+% 최대 저항력' 옵션의 아이템이나 오라를 사용하면 95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가끔 게임에서 속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 데 이건 헬 기준으로 저항력 -100 패널티를 극복하고 75 저항력(황금레지)을 유지하고 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저항력 감소 페널티를 받아도 황금레지가 유지되는 것을 속저라고 부른다.참고로 게임 디아블로(diablo) II에선 '매직'이라는 속성이 있습니다. 이는 기존 원소 속성과는 또다른 속성이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경우 네크로맨서의 본 계열 스킬이나 팔라딘의 블레시드 해머입니다. 바바리안의 버서크가 매직 속성에 들어간다. 매직 저항력은 일부 크래프트 아이템에서 아주 약간만 올릴 수 있고 '말(Mal) 룬' 에는 마법 데미지 감소 옵션이 존재한다. 하지만 말 룬은 상위 룬에 속하기 때문에 소켓 아이템에 착용하기에는 너무 아까우니 사용을 자체적으로 금하는 편이다.내성(Immune) : 이쪽은 캐릭터는 가질 수 없는 속성입니다. 저항력의 연장선상에 있으므로 기술. 통칭 내성 또는 이뮨. 간단히 말하자면 저항력이 100 이상이라 해당 속성으로는 공격이 안박히는 경우를 뜻한다. 물리 공격의 경우 방어에서 설명한 '데미지 감소'가 10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물리 공격/마법 공격/파이어/콜드/라이트닝/포이즌의 6가지 속성의 내성이 있다. 대체적으로 이중 1개가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몬스터의 경우 2개 이상 붙는 경우도 많으니 주의. 대체적으로 육성한 캐릭터의 경우 한 가지 속성만을 사용하여 공격하기 때문에 내성 달린 몹이 나오면 아주 피곤해진다. 아이템이나 패시브 스킬에 붙어있는 '저항력 감소' 옵션은 먹히지 않습니다.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리 공격의 경우 앰플리파이 데미지나 디크리피파이 저주. 원소 공격의 경우 컨빅션 오라(포이즌 제외)와 로우어 레지스트 저주(포이즌 포함) 뿐이다. 다만 이마저도 몬스터의 내부 저항력 등 요소에 따라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내성 몬스터의 경우 이러한 저주나 오라의 효과가 1/5로 줄어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물리의 경우는 기본적인 물리 내성 몬스터의 데미지 감소치는 100%가 전부이기 때문에 일부 챔피언 몬스터를 제외하곤 대부분 벗길 수 있다. 단 예외인 경우는 몬스터 자체가 물리 공격 내성을 지녔는데 여기서 '스톤 스킨' 효과를 가지거나 저주가 걸리지 않는 '퍼제스트'가 붙어있는 물리 공격 내성의 몬스터는 내성을 없앨 수 없다. 원소계의 경우 100이 넘어가는 경우가 허다해서 이걸로도 안벗겨지는 몬스터가 드물지 않게 존재한다. 플레이어나 용병의 경우 저항력 최대치 때문에 내성을 가질 수 없습니다. 소환물의 경우는 저항력 최대치가 없기 때문에 내성이 붙을 수 있다.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도 내성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는 '마법 공격 내성' 이다. 다음은 게임 내에서 수치상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나 유용한 능력치들이다. 데미지 감소(Damage Reduced by): 실질적으로 타 게임의 방어력 역할을 하는 수치. 간단히 물리 공격 버전의 저항력이라 할 수 있다. 원래는 최대치가 75%였으나 1.10에서 50%로 줄었다. 이때문에 효율성에서 피해본 아이템이 메쉬아머와 그림헬름. 물리 공격 내성은 이 수치가 100% 이상일 때를 얘기한다. 앰플리파이 데미지(100% 감소)나 디크리피파이(50% 감소) 저주를 사용하여 이 수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내성 시에는 1/5로 효과가 줄어서 들어오지만 내성을 지울 수 있는 것이 포인트입니다.마법 데미지 감소(Magic Damage Reduced by): 데미지 감소의 원소 버전. 피격 시 받는 파이어, 콜드, 라이트닝, 매직 데미지를 감소시킨다. 포이즌 데미지는 감소되지 않는다.매우 빠른 캐스팅 속도(Faster Cast Rate): 통칭 패캐. 간단히 말해 마법 버전의 공격속도이다. 소서리스나 해머딘 같은 캐릭터의 필수 능력치지만, 희대의 사기 아이템 수수께끼의 등장 이후로 어떤 클래스라도 맞추면 좋은 그런 능력치가 되었다. 여담으로 기본 캐스팅 속도가 가장 빠른 클래스는 당연히 소서리스입니다. 바바리안이 소서리스와 동일한 캐스팅 속도를 가진다. 가장 느린 클래스는 아마존 입니다.매우 빠른 방어 속도(Faster Block Rate): 통칭 패블럭. 방패로 블럭이 성공한 후 다시 블럭이 가능할 때까지의 딜레이(프레임 단위)를 줄여주는 능력치이다. 기본 패블럭이 가장 빠른 클래스는 재벌린든 아마존입니다. 어쎄신입니다. 팔라딘입니다. 제일 느린 클래스는 칼든 아마존이다. 팔라딘의 홀리 쉴드라는 희대의 사기 스킬은 켜는 것만으로 기본 패블럭이 2프레임이 된다. 이론상으로 최고 공속의 스트레이프를 전부 막을 수 있는 수치입니다.매우 빠른 달리기/걷기 속도(Faster Run/Walk):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준다.매우 빠른 회복속도(Faster Hit Recovery): 타 게임의 히트 리커버리 역할을 하는 수치로 피격 시 경직이 발생했을 때 다시 움직일 수 있을 때 까지의 딜레이(프레임 단위)를 감소시키는 능력치이다. 체력회복이나 마나회복에는 관계가 없는 능력치로 가장 괴악하게 번역된 사례 중 하나일것이다.

+ Recent posts